브라만과 카스트 제도의 기원
브라만의 권력 독점: 브라만은 전쟁을 통해 권력을 독점하고, 샤들리와 손을 잡아 바이샤가 만든 생산물을 가져간다.
슈드 아의 노예화: 브라만은 슈드 아를 노예로 부리게 되었으며, 이는 약 2500년 전의 일이다.
카스트 제도의 정착 가능성: 불평등을 전제로 한 새로운 카스트 제도가 브라만의 의도대로 인도 사회에 잘 정착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.
사회적 불만: 카스트 제도가 정착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추측과 함께, 불만이 많이 생길 것이라는 의견이 있다.
카스트 제도의 불평등
불평등의 전제: 카스트 제도는 본질적으로 불평등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, 이는 브라만의 의도와 관련이 있다.
사회적 계급: 인도 사회에서 각 계급은 서로 다른 권리와 의무를 가지며, 이는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킨다.
브라만의 의도: 브라만은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카스트 제도를 정교하게 설계하였다.
사회적 저항: 이러한 불평등에 대한 저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, 이는 사회적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.
깨끗함과 더러움의 개념
깨끗함과 더러움의 정의: 깨끗함은 성스러운 생명으로, 더러움은 죽음과 오염으로 정의된다.
카스트 제도와의 연관성: 이러한 개념은 카스트 제도를 확고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였다.
브라만의 인식: 브라만은 자신들이 깨끗한 계급이라고 인식하며, 슈드 아는 더러운 계급으로 인식된다.
사회적 차별: 이러한 인식은 각 계급 간의 차별을 더욱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.
겐지스강의 신성함
겐지스강의 중요성: 힌두교에서 겐지스강은 가장 성스러운 강으로 여겨지며, 인도인들은 이 강을 중심으로 농사를 짓는다.
신성한 활동: 겐지스강에서의 활동은 신성하게 여겨지지만, 실제로는 다양한 오염이 발생하고 있다.
공중에서의 활동: 겐지스강에서 사람들은 기도를 하거나 세탁을 하며, 이는 종교적 신념과 관련이 있다.
오염 문제: 겐지스강의 물은 오염되어 있으며, 이를 마시는 것은 건강에 해롭다.
브라만의 권위와 제사
브라만의 권위 강화: 브라만은 제사를 통해 자신의 권위를 더욱 높이기 위해 대규모로 희생을 치른다.
제사의 규모: 기원전 6세기 문헌에 따르면, 한 번의 제사에 14,400마리의 소가 희생되었다고 한다.
농민의 고통: 이러한 대규모 제사는 농민들에게 큰 피해를 주며, 농사짓기가 어려워진다.
사회적 불만: 농민들은 빈곤과 굶주림에 시달리게 되며, 이는 브라만의 가치관과 정반대의 상황을 초래한다.
부처의 가르침과 반란
부처의 출생 배경: 부처는 고마 시르 르는 사기라는 작은 왕국의 왕자로 태어났으며, 무상함을 깨닫고 깨달음을 얻는다.
부처의 가르침: 부처는 세상은 고통이라고 가르치며, 사람들에게 물질적 소유를 버리라고 권장한다.
브라만에 대한 반대: 부처는 브라만이 독점하던 인도 사회의 불평등에 반대하며, 제사를 지내지 말라고 가르친다.
평등의 강조: 부처는 모든 사람들이 평등하다는 것을 강조하며, 불교의 가르침을 통해 불평등의 고리를 끊으려 한다.
카스트 제도의 변화와 저항
바이샤 계급의 반발: 바이샤 계급은 불평등한 카스트 제도에 대해 강한 반발을 보인다.
제사의 변화: 브라만은 제사의 살생을 금지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게 된다.
대체 제물: 소 대신 채소, 식용유, 곡식 등을 신에게 바치게 된다.
사회적 변화: 이러한 변화는 브라만의 권력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.
소의 신성화와 카스트 제도
소의 신성함: 브라만은 소를 힌두교에서 가장 성스러운 동물로 승격시킨다.
소와 신의 관계: 소의 모든 몸 부위에 신이 거주한다고 여겨지며, 이는 힌두교의 신앙과 관련이 있다.
소의 보호: 소는 힌두교에서 신성시되며, 이는 인도 사회에서 오랫동안 이어져 온 전통이다.
브라만의 권력 유지: 소의 신성화는 브라만이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.
만우 법전과 카스트의 의무
만우 법전의 내용: 만우 법전은 카스트에 따른 의무를 규정하고 있으며, 각 계급의 역할을 명확히 한다.
브라만의 특권: 브라만은 태생적으로 모든 것에 권한이 있으며, 이는 그들의 특권을 강화한다.
슈드 아의 의무: 슈드 아는 다른 계급에 대해 무례하게 행동할 경우 처벌을 받으며, 이는 그들의 사회적 지위를 더욱 낮춘다.
사회적 구조: 이러한 법전은 카스트 제도의 정당성을 부여하고, 사회적 불평등을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.
불가촉 천민의 차별
불가촉 천민의 정의: 불가촉 천민은 사회에서 가장 낮은 계급으로, 그들은 부정한 존재로 여겨진다.
차별의 심각성: 불가촉 천민은 다른 계급과의 접촉을 피해야 하며, 이는 극단적인 차별을 나타낸다.
사회적 규범: 그들은 마을에 들어올 때 소리를 내거나 방울을 달고 다녀야 하며, 이는 그들의 존재를 알리기 위한 방법이다.
법적 규제: 법전은 불가촉 천민이 낮에 돌아다니는 것을 금지하며, 이는 그들의 인권을 심각하게 침해한다.
힌두교의 물질적 목표
물질적 목표의 중요성: 힌두교는 물질적 재산을 모으는 것을 중요시하며, 이는 사회 질서와 관련이 있다.
부의 축적: 힌두교인은 카스트의 의무를 다하며 부를 축적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.
사회적 역할: 각 계급은 자신의 역할을 다하며, 이를 통해 사회가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.
현실적 접근: 힌두교는 물질적 욕구를 부정하지 않으며, 오히려 이를 긍정적으로 바라본다.
카마와 성관계의 중요성
성관계의 목표: 힌두교에서 성관계는 인생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로 여겨진다.
카마수트라의 역할: 카마수트라는 성관계에 대한 경전으로, 육체적 쾌락을 추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.
사회적 필요: 성관계는 출산과 노동력 증가에 기여하며, 이는 사회 발전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.
실용적 접근: 힌두교는 성관계를 통해 인구 증가와 경제 발전을 도모하는 실용적인 종교이다.
깨달음의 추구와 사두
사두의 존재: 사두는 깨달음을 얻기 위해 수행하는 사람들로, 그들은 극단적인 고행을 통해 정신을 찾으려 한다.
고행의 방법: 사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고행을 하며, 이는 그들의 신념과 관련이 있다.
사회적 비판: 이러한 고행은 물질적 삶과 대조되며, 힌두 사회에서 비판적인 시각을 불러일으킨다.
깨달음의 목표: 사두들은 육체를 극복하고 정신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하며, 이는 힌두교의 중요한 가치 중 하나이다.
비틀즈와 인도의 이미지 변화
비틀즈의 인도 방문: 비틀즈는 1968년에 인도를 방문하여 신비로운 인도의 이미지를 세계에 알렸다.
마하리시 마하시의 영향: 비틀즈는 마하리시 마하시를 스승으로 삼고, 이는 그들의 음악과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.
히피 문화와의 연결: 비틀즈의 방문은 히피 문화와 연결되어, 인도를 명상과 깨달음의 나라로 인식하게 만들었다.
세계적 이미지 변화: 이러한 변화는 인도의 문화적 이미지를 크게 변화시켰으며, 많은 사람들이 인도로 여행하게 만들었다.
인도의 현대적 이미지
신비의 나라로서의 인도: 인도는 많은 사람들에게 신비의 나라로 여겨지며, 이는 역사적, 문화적 배경과 관련이 있다.
인도인의 시각: 인도 사람들은 이러한 이미지를 어떻게 받아들이는지에 대한 질문이 제기된다.
사회적 현실: 인도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물질적 삶을 추구하며, 깨달음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.
문화적 다양성: 인도 사회는 다양한 문화적 요소가 혼합되어 있으며, 이는 현대 인도의 복잡성을 나타낸다.
[본 기사내용은 유튜브상 다른 유튜버 분들이 제작하신 유튜브 동영상 중 독자들이 관심을 갖을 만한 흥미로운 내용을 발췌, 요약, 정리한 내용임을 알려드립니다. 아래에 발췌한 유튜브 동영상을 올려드립니다.]
[#벌거벗은세계사] (40분) 육체적 쾌락을 중시했던 힌두교😳 성교육 지침서라 불리는 힌두교 경전의 정체는?💋
'여행,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마추픽추를 이런 얼토당토않은 곳에 지은 매우 과학적인 이유! (0) | 2024.11.16 |
---|---|
경기도 시흥에 실수로 만든 방조제, 그 아래서 1억년전 비밀 쏟아졌다 / 디씨멘터리 (4) | 2024.11.07 |
스핑크스의 귀 뒤에서 발견된 이상한 방에 들어가보니...... (1) | 2024.11.06 |
섬이 될지도 모르는 아프리카. 아프리카는 왜 둘로 쪼개지고 있을까? (4) | 2024.11.06 |
세상에서 가장 아름답고, 장엄한 자연경관 7선 - 여기 지구 맞아? (6) | 2024.11.04 |